lunes, abril 28, 2008

Cuba, los nuevos tiempos

El artículo que viene es de Santiago Alba Rico, escritor y filósofo izquerdista. Lo he visto en la página web Rebelión. (http://www.rebelion.org/noticia.php?id=28376) Al principio, lo he traducio en coreano para enviar a la revista electrónica del SNUILAS, TransLatin, pero no lo he podido. Por esta razón, lo subo aquí para compartir opiniones con mis compañeros.

Cuba, los nuevos tiempos (쿠바, 새로운 시대)
Santiago Alba Rico (산띠아고 알바 리꼬)

La verdad es que en los últimos 45 años España ha cambiado muchísimo y Cuba, en cambio, muy poco. Basta la mirada más superficial para tener que avenirse a este hecho incontestable y extraer las conclusiones. ¿Cuáles son? Una sobre todo: la verdad es que España, que ha cambiado mucho en los últimos 45 años, ha avanzado poquísimo y Cuba, porque ha cambiado muy poco, ha avanzado muchísimo. Mientras que España, ex-potencia colonial, renunciaba definitivamente a su independencia y soberanía aceptando un neofranquismo jovial, una rendición en color, un candado fosforescente, Cuba aguantaba una invasión, un bloqueo, la existencia de la Unión Soviética, la ausencia de la Unión Soviética, el terrorismo incesante de los EEUU para conservar inalteradas hoy, casi cinco lustros más tarde, las condiciones del libre movimiento y la autodeterminación democrática. Cuba ha sacrificado 45 años, pero no los ha perdido; España ha perdido 45 años (o 450) porque nunca ha estado dispuesta a sacrificar otra cosa que su conciencia. España se deja cambiar; Cuba no. España se siente satisfecha de que la cambien a la fuerza; Cuba se siente a veces cansada del largo esfuerzo para que no la cambien.
지난 45년 동안 스페인이 많은 변화를 겪은 반면 쿠바는 그러한 변화가 거의 없었던 게 사실이다. 피상적으로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이 항변할 수 없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그 결과들을 끄집어내기에 충분하다. 그렇다면 그 결과들이란 무엇인가? 우선 지난 45년 간 많이 변화를 겪은 스페인에 발전이 거의 없었던 데 반해, 쿠바는 거의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큰 발전을 거두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강력한 식민 강대국이었던 스페인이 막 형성된 신(新)프랑코주의, 채색된 굴복, 형광색 자물통을 받아들여 자신의 독립과 주권을 결국 포기하였다면, 쿠바는 침략, 봉쇄, 소련의 존재와 부재, 쉼 없는 미국의 테러를 견뎌내고 오늘날까지 거의 25년 동안 자유활동과 민주자결의 조건들을 변함 없이 지켜왔다. 쿠바는 45년을 희생하였다. 그러나 그 세월을 잃은 것은 아니었다. 그에 반해 스페인은 45년(혹은 450년)을 잃었다. 자신의 양심 이외에 다른 것을 희생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스페인이 변화에 몸을 맡겼다면, 쿠바는 그렇지 않았다. 스페인이 강제로 변하는 것에 만족해 했다면, 쿠바는 변하지 않으려는 오랜 노력 속에 가끔 피곤함을 느꼈다.
En un libro tan bello como olvidado, Huracán sobre el azúcar, Jean-Paul Sartre escribía sobre su visita a Cuba apenas 18 meses después de la revolución: “Cada uno de sus progresos puede resultarle fatal, pues en cada uno de ellos afirma su irreductible voluntad de independencia. En consecuencia, el peligro proviene de sus mejores obras y crece con su mejoramiento; es una carrera contra el reloj”. Era marzo de 1960 y en el puerto de La Habana acababa de estallar el barco francés La Coubre, pero Sartre sólo podía adivinar temeroso la invasión de Bahía de Cochinos y el bloqueo estadounidense, que aún no habían descargado su furia contra Cuba. La revolución cambió radicalmente el país en 1959 y se negó luego a cambiar ese cambio; y por cada cosa buena que se desprendía de él, por cada “mejoramiento” social –como decía Sartre- recibió y sigue recibiendo un golpe. Es hasta tal punto difícil aceptar semejante derrotero moral que incluso algunos izquierdistas europeos han acabado por asociar un castigo tan gratuito y brutal a un pecado interno, pero lo cierto es que la agresión contra Cuba –contradiciendo todos los principios pedagógicos- es tanto mayor cuanto mejor se porta la revolución. Lo que a EEUU le gustaba de Pinochet, de Videla, de Somoza, de Marcos, de Suharto, del Sha de Persia, del régimen sudafricano del apartheid; lo que le gusta de Musharraf, de Mohammed VI, de Mubarak, de Abdalah, de Uribe –y por lo que les recompensa- es que producen pobres, enfermos y cadáveres (y muchos canallas). Lo que a EEUU no le gusta de Cuba, y ese es el único motivo de todas sus represalias, es que sea el único país de Latinoamérica sin desnutrición infantil, el único que da de comer a toda su población, el único sin analfabetos, el único que no mendiga, el único que no duerme en la calle, el único que cura todas las enfermedades curables, el único que investiga las incurables, el único cuya fuerza laboral está compuesta de un 60% de bachilleres o universitarios, el único en el que un ministro y un conductor de autobús discuten en pie de igualdad, el principal exportador del mundo de alivios médicos, el principal exportador del mundo de instrucción escolar, el que tiene menos prostitución, el que tiene menos corrupción, uno de los que menos inmigrantes desplaza al exterior y, no por casualidad, el que produce menos canallas y más conciencias del planeta. El monótono y criminal bloqueo aplicado contra Cuba desde hace 45 años es una estrategia para impedir estos “mejoramientos” pero también es una forma de castigarlos: un niño sin hambre, un niño sin frío, un niño curado –salvo que enriquezca a la Roche y empobrezca a cien mil- es un pecado intolerable contra el proyecto moral de los EEUU y debe ser inmediatamente expiado por todos los medios. Allí donde las palabras independencia, seguridad, igualdad, derecho, significan algo; allí donde un niño tiene arroz, un obrero lee a Lezama Lima y un ciego vuelve a ver gratis, inmediatamente se arma un ejército contra ellos y cien moralistas de la prensa –en Madrid y en Nueva York- le invitan a disparar.
훌륭하지만 잊혀졌던 저서인 『설탕 위의 허리케인(Huracán sobre el azúcar)』에서 장 폴 사르트르는 혁명이 끝나고 18개월이 지난 쿠바에 방문하였던 경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적었다. “진보 하나하나가 그곳(쿠바)에는 치명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그 진보 하나하나에서 환원될 수 없는 독립에 대한 의지가 굳건해져 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위험은 최선의 작업들에서 기인하며 개선과 함께 커져간다. 이것은 시간에 반하는 길이다.” 이 때가 1960년 3월이었고 아바나 항(港)에서 프랑스 선박 라 코브레(La Coubre) 호(號)가 폭발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였다. 그러나 사르트르는 오직 가공스러운 코치노스 만(灣) 침공과 미국의 봉쇄만을 예견할 수 있었다. 미국은 여전히 쿠바에 대한 그들의 분노를 내려놓지 않았다. 혁명은 1959년에 쿠바를 밑바탕에서부터 바꿔놓았다. 그리고는 그 변화를 변화시키길 거부하였다. 그로부터 나온 좋은 것 하나하나로부터, 사르트르가 말하였듯이 사회적 ‘개선’ 때문에 쿠바는 충격을 받았고 여전히 받고 있다. 몇몇 유럽 좌파주의자들까지 근거도 없고 잔인하기만 한 처벌을 내부의 죄를 짝지어 버리고만 유사한 도덕적 여정을 받아들이기란 그 정도로 어렵다. 그러나 쿠바에 대한 공격은, 모든 교육적 원칙들을 부정하며, 혁명이 더욱 잘 진행될수록 더 커진다는 점은 확실하다. 미국이 피노체트, 비델라, 소모사, 마르코스, 수하르토, 페르시아 국왕, 인종차별정책의 남아프리카공화국 정권을 좋아하는 이유는, 상을 주면서까지 무샤라프, 모하메드 6세, 무바라크, 압달라, 우리베를 좋아하는 이유는 그들이 가난, 질병, 죽음과 수많은 악당들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미국이 쿠바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유아 영양결핍이 없는 유일한 라틴아메리카 국가이자, 국민을 굶기지 않는 유일한 국가이자, 문맹이 없는 유일한 국가이자, 구걸하는 사람이 없는 유일한 국가이자, 거리에서 노숙하는 사람이 없는 유일한 국가이자, 치료 가능한 모든 질병을 치료하는 유일한 국가이자, 불치병을 연구하는 유일한 국가이자, 노동력의 약 60%가 고등학교 혹은 대학교 졸업자인 유일한 국가이자, 장관과 버스운전자가 동등한 입장에서 토론을 하는 유일한 국가이자, 세계적인 주요 의료원조 수출국가이자, 세계적인 주요 학교교육 수출국가이자, 매춘이 더 적은 국가이자, 부정이 더 적은 국가이자, 외국으로 이주하는 이민자가 더 적은 국가이자, 필연적으로 세계적으로 더 적은 악당과 더 많은 양심을 생산하는 국가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모든 보복의 유일한 이유이다. 45년 동안 쿠바에 적용된 천편일률적이고 범죄적인 봉쇄는 이러한 “개선들”을 방해하기 위한 전략이자, 또한 배고픔이 모르는 아이, 추위를 모르는 아이, 치료받은 아이를 벌주기 위한 방법이다. 로슈 사(社)를 부유하게 하고 만 명을 가난하게 만드는 것 말고는 모든 게 미국의 도덕적 프로젝트에 반하는 참을 수 없는 죄이자, 모든 수단을 통해 즉시 벌을 받아야 하는 죄인 것이다. 독립, 안전, 평등, 권리와 같은 단어들이 의미를 갖는 그곳에서, 아이가 쌀을 가지고 있고 노동자가 레사마 리마의 작품을 읽으며 장님이 무료치료로 시력을 되찾는 그곳에서, 그들을 적대시하는 군대가 즉시 무장을 하고 마드리드와 뉴욕에서 백 명의 언론계 도덕주의자들이 그 군대에게 총을 쏘도록 권유한다.
Quien no ha cambiado nada en los últimos 45 años, si se piensa bien, es EEUU. La verdad de Cuba, a la que no debemos ceder -aunque sí ajustar- nuestro espíritu crítico, es esa “carrera contra el reloj” de la que hablaba Sartre y que convierte cada medida del gobierno revolucionario en una “réplica”. Comer sin ellos, sanar sin ellos, reír sin ellos, leer sin ellos, escribir sin ellos es socialismo; comer, sanar, reír, leer y escribir contra ellos es todavía una dependencia. Pero sobre el horizonte de esta dependencia, Cuba ha avanzado mucho en los últimos 45 años. Los cubanos, decía Sartre en 1960, tienen “la urgencia de los tomates y las plantas eléctricas” y mucho menos “la de las instituciones”. Esa urgencia se mantiene aún hoy y para satisfacer sus demandas –lo confieso- quizás estaría dispuesto incluso a aprobar con frívola distancia una “militarización” de la producción, pero precisamente por eso no puedo dejar de agradecer, con la misma frívola distancia, la milagrosa fortaleza de la revolución cubana, que se ha querido conceder un margen de independencia formal mayor del que la amenaza real habría justificado. Con retrocesos, rectificaciones y vaivenes, lo cierto es que la revolución cubana se institucionalizó también; en los años setenta se dio una Constitución, un Parlamento, elecciones formalmente mucho más participativas que las nuestras; corrigió su política homofóbica, al contrario que la mayor parte de los países de la región, incluidos los EEUU; superó la esclerosis cultural de los años grises y ha desentumecido su cultura y su prensa, de un modo quizás todavía insuficiente, pero tanto al menos como para no recibir lecciones de El País y sus editoriales sobre Haití o Venezuela o de Javier Marías y sus indigestiones egocéntricas. En nombre de “la carrera contra el reloj” y la “lucha contra el terrorismo”, Cuba habría podido imponer con más legitimidad que Bush una dictadura y no lo ha hecho porque ha sabido en todo momento que defender la revolución era defender la democracia, un grado menos quizás de la que habrá sin ellos pero un grado más de la que su presión permite.
지난 45년 동안 아무것도 변하지 않은 것은 잘 생각해 보면 미국이다. 조정할 수는 있어도 우리의 비판정신을 양보해서는 안 되는 쿠바의 진실은 바로 사르트르가 말한, 혁명정부의 모든 조치들을 “항변”으로 바꾸는 “시간에 반하는 길”이다. 그들 없이 먹는 것, 그들 없이 치료하는 것, 그들 없이 웃는 것, 그들 없이 읽는 것, 그들 없이 쓰는 것은 사회주의이다. 반면에 그들에 대항하여 먹고, 치료하고, 웃고, 읽고, 쓰는 것은 아직까지 종속이다. 그러나 이 종속의 지평 위에서 쿠바는 지난 45년 동안 많이 발전하였다. 1960년에 사르트르는 쿠바인들에게 “토마토와 전기시설을 갖춘 공장”은 절박하지만 “제도”는 그렇지 않다고 말하였다. 그 절박함은 오늘날까지도 여전하다.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거의 생산활동의 “군대화”까지 승인해야 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또한 그렇기 때문에 쿠바 혁명의 거의 기적적인 힘에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쿠바 혁명은 실제 위협이 정당화했을지도 모를 것보다 더 큰 형식적인 독립의 테두리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분명히 후퇴, 수정, 동요를 통해 쿠바 혁명 역시 제도화되었다. 70년대에 헌법과 의회, 그리고 형식적으로 우리의 선거들보다 훨씬 더 참여적인 선거들이 나타났다. 잿빛 시대의 문화적 경화현상을 극복하고 문화와 언론을 자유롭게 풀어주었다. 아마 아직 불충분할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적어도 아이티, 베네수엘라, 하비에르 마리아스에 대한 『엘 빠이스』와 출판사들의 충고나 그들의 자기중심적인 소화불량을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시간에 반하는 길”과 “테러에 대항하는 투쟁”의 이름으로 쿠바는 부시보다 더 합법적으로 독재를 강요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혁명을 지키는 것이 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임을 항상 알고 있었기에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 민주주의는 그들 없이 가능했을 때보다 아마 한 단계 낮을지는 모르나 그들의 압력이 허용하는 것보다는 한 단계 더 높은 것이다.
A veces la izquierda europea, en los últimos años, no ha sabido seguir a Sartre; ahora se le ofrece la mejor oportunidad histórica para rectificar su posición. Minoritaria, aislada, dividida, la izquierda europea puede seguir blandiendo una idea contra la isla en la que fructificó su semilla y enhebrando palabras contra el único país donde significan algo. Hay once mil especies de plantas y animales amenazadas de extinción que desaparecerán en los próximos treinta años, pero es incalculable el número de ideas y palabras que ya han desaparecido. Las palabras, como los animales, necesitan un medio ecológico concreto para desarrollar sus funciones, reproducirse y transformar favorablemente el entorno. Periódicos como Diagonal o Rebelión son pequeños microclimas donde esas palabras se conservan un poco artificialmente; pero nuestros periódicos alternativos, como nuestras ranas, no lo olvidemos, están siempre en peligro de extinción. Una palabra necesita un país para significar algo y toda la tierra para significar mucho. Cuba ha cambiado poco y avanzado mucho en 45 años de resistencia y hoy precisamente se revela hasta qué punto ha sacrificado, pero no perdido, ese tiempo. Lo ha ganado para todos; con esa idea y algunos errores ha construido heroicamente el muro donde ahora todos podemos apoyarnos. Gracias a que Cuba se mantenía ahí, como una salud latente, como una planta agarrada a la roca a la espera de un clima nuevo, cuando Bolívar volvió a Venezuela tuvo también donde agarrarse; y cuando la Pachamama volvió a Bolivia tuvo también donde agarrarse. Resulta que Cuba, porque no cambió, seguía por delante de todos y es de nuevo el comienzo de todo. Cuba aguantó pequeñita, arrinconada, imprevisible, para que Latinoamérica renaciente tenga hoy un asidero donde fecundar su esqueje. Sería ingratitud, además de estupidez, rechazar ese hombro.
최근에 유럽의 좌파는 때때로 사르트르를 따르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 그들에게 그들의 위치를 바로 잡을 수 있는 역사적으로 최상의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고립되고 분열된 소수로서 유럽의 좌파는 그들의 씨앗이 열매를 맺었던 섬에 반하는 생각을 계속해서 내세우고, 무엇인가를 의미하는 유일한 국가에 반대하는 말들을 밥 먹듯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30년 내에 사라질지도 모르는 만 이천 여 종의 멸종위기의 식물과 동물이 있다. 그러나 이미 사라져 버린 생각과 말들의 숫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동물들처럼 말도 자신의 기능을 발전시키고 스스로를 재생산하며 주변환경을 우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생태계를 필요로 한다. 『디아고날』이나 『레벨리온』과 같은 신문들은 이러한 말들이 약간은 인위적으로 보존되는 미시적 기후이다. 그러나 우리의 대안신문들 역시 우리의 개구리들처럼 멸종의 위험 속에 항상 처해 있음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말은 그것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기 위해 한 국가를, 그리고 많은 것을 의미하기 위해 모든 땅덩어리를 필요로 한다. 쿠바는 45년이라는 저항의 시간 동안 거의 변하지 않은 채 크게 발전하였다. 그리고 지금 그 시간 동안 잃음 없이 어디까지 희생하였지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모두를 위해 그것을 이뤄냈다. 그러한 생각과 약간의 실수들을 통해 영웅적으로 지금 우리 모두가 서로 도울 수 있는 둑을 만들었다. 쿠바가 잠재적인 상태로, 새로운 기후를 기다리며 바위를 꽉 붙들고 있는 나무처럼 그곳에 남아있었기에, 볼리바르가 베네수엘라로 돌아갔을 때 역시 뿌리를 내릴 곳을 가졌고, 라 빠차마마가 볼리비아로 돌아갔을 때 또한 뿌리를 내릴 곳을 가졌다. 결국 쿠바는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우리 모두의 앞에서 나아갔고 다시금 모든 것의 시작이 되었다. 쿠바가 작은 나라로 궁지에 몰리고 예견할 수 없는 상황을 견뎌냈기에 다시 태어나는 라틴아메리카는 오늘 그 접목을 풍요롭게 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 어깨를 저버리는 것은 어리석은 일일 뿐만 아니라 배은망덕한 일일 것이다.